三、栗谷学

知识类型: 析出资源
查看原文
内容出处: 《朱子学年鉴2013》 图书
唯一号: 130820020230001092
颗粒名称: 三、栗谷学
分类号: B244.7
页数: 2
页码: 322-323
摘要: 本文记述了2013年韩国朱子学栗谷学的资料内容。
关键词: 朱子学 研究 2013 韩国

内容

[1]이주용 (JuYong Lee ),《율곡 ( 栗谷 ) 의 선비정신을 통한 공직자상 ( 公職者像) 에 관한 연구》,근역한문학회,〈한문학논집〉 37권 0호.2013 pp.249-283
  [2]이종문 (JongMoon Lee),《율곡 (栗谷) 과 유지 여卯枝) ,「유지사 (柳枝詞 ) 」 의 전승 과정에 관한 고찰》 ,한국한문학회,〈한국한문학연구〉 51권 0호. 2013pp.159-195
  [3]최병덕 (Byongduk Choi ) ,《율곡 이이의 ”기강 (紀堈 ) ”에 대한 인식과 정치개혁》 ,대한정치학회,〈대한정치학회보〉 21권 2호.2013 pp.155-177
  [4]김춘식 (Chusik Kim) ,《율곡의 인재등용론》 ,한국행정학회,〈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〉 2013권 0호. 2013 pp.92-111
  [5]김학재 (HakZe Kim) , ((『순언 』 에 드러난 율곡의 I노자』 해석의 지평- 『 대학』 을 통한 「 노자』 이해——》 ,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,〈철학연구〉 48권 0호. 2013 pp.1-34
  [6]김택 ( Taek Kim) ,정남채 (Namchae Jeong) ,하종필 (Chongpil Ha ) ,《율곡 이이의 "10만 양병론”에 관한 소고 ( 小考 )——천재지변과 당파 싸움으로 인한 국내변란 예방 차원의 국방전략에 대하여-》 ,한국행정학회,〈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〉 2013권 0호. 2013 pp.112-129
  [7]장숙필(SookPil Jang) ,《호락논챙 이전 율곡학파의 미발론과 인물성동이론》 ,(사) 율곡연구원 (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),〈율곡사상연구〉 26권 0호. 2013pp.37-69
  [8]권문봉 (MoonBong Kwon ) ,《율곡(栗谷) 과 다산 ( 茶山 ) 의 사생론어!대하여》 ,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,〈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〉 58권 0호. 2013pp.269-313
  [9]고명신 (MyeongShin Ko) ,《율곡 이이의 시인식과 시세계의 특징》 ,한국고시가문학회,〈고시가연구〉 31권 0호. 2013 pp.5-33
  [10]조성환 (SungHwan Cho ) , 《“실천학”으로서의 “실학”개념 -율곡 개혁론의 철학적 기초--》,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, 〈철학논집 ) 33권 0호. 2013 pp.87-121
  [11]김춘식 (ChoonShik Kim) ,《율곡의 인재등용론》, 한국행정사학회,〈한국행정사학지〉32권 0호. 2013 pp.79-99
  [12]이향준 (HyangJoon Lee) ,《한원진의 미발심쳬론》, (사) 율곡연구원(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), 〈율곡사상연구〉26권 0호. 2013 pp.71-102
  [13]윤연석 (YonSeok Yoo) ,《율곡학의 관점에서 본 호락논쟁의 챙점과 낙론의 성격 -미발론과 인물성론을 중심으로-》, (사) 율곡연구원 (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), 〈율곡사상연구> 26권 0호. 2013 pp.103-148
  [14]김경호 (KyungHo Kim) ,《호락논변 이후, 율곡학파 미발론의 철학적 문제의식 -리기동실과 심성일치를 중심으로》, ( 사) 율곡연구원 (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), 〈율곡사상연구〉 26권 0호. 2013 pp.149-178

知识出处

朱子学年鉴2013

《朱子学年鉴2013》

本书设特稿、朱子学研究新视野、全球朱子学研究述评、朱子学书评、朱子学研究论著、朱子学研究硕博士论文荟萃、朱子学界概况,朱子学动态、资料辑要(介绍朱子学新书目录、期刊论文索引、全球朱子学研究资料目录等)9个栏目。

阅读