二、退溪学

知识类型: 析出资源
查看原文
内容出处: 《朱子学年鉴2013》 图书
唯一号: 130820020230001091
颗粒名称: 二、退溪学
分类号: B244.7
页数: 3
页码: 320-322
摘要: 本文记述了2013年韩国朱子学退溪学的研究内容。
关键词: 朱子学 研究 2013 韩国

内容

[1]손병욱(ByongukSon),《퇴계이황의거경궁리(居敬窮理)사상에서본정좌수련(靜坐修練)의위상》,사단법인퇴계학부산연구원,〈퇴계학논총〉22권 0
  호.2013pp.7——38
  [2]박정련(JeongRyen Park),《퇴계의 국악치유 방법에 관한 모델 연구——
  『 활인심방 (活人心方 )』의“거병연수륙자결(去病延壽六字訣 )“ 과 “장부 (臟腑) 운동법”을 중심으로》 ,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, 〈유학연구〉 28권 0호.2013
  pp.34-68
  [3]주광호 (Kuangho Chu) ,《퇴계 리발설 (理發說), 리의 능동성에서 도덕적감정의 일상성으로》,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, 〈철학연구〉47권 0호. 2013 pp.1-35
  [4]정상봉 (SangBong Jeong) ,퇴계의 주자철학에 대한 이해와 그 특새 -리 (理) 의 동정 ( 動靜 ),발 (發 ),도 (到 ) 를 중심으로-》, 한국철학사연구회, 〈한국철학논집 〉 37권 0호. 2013 pp.47-70
  [5]최영성 (YoungSung Choi)《퇴계 (退溪) 사칠리기호발론 (Q9-[=理氣互發論 ) 의 연원 ( 淵源 ) 에 대한 일고찰 (一考察)——홍지 ( 洪志 ) 의 『심학장주대전 (心學章註大全) 』 과 관련하여-》, 한국철학사연구회, 〈한국철학논집 > 37권 0호.2013 pp.7-45
  [6]신창호 (ChangHo Shin)《퇴계교육철학과 전통교육 -- 『성학십도」 를중심으로》, 한국교육철학회, <교육철학〉 50권 0호. 2013 pp.1-29
  [7]박균섭 (KyoonSeop Park) ,《퇴계교육철학과 근대교육》 , 한국교육철학회, 〈교육철학〉 50권 0호. 2013 pp.31-60
  [8]서명석 (MyoungSeok Seo) ,《퇴계교육철학과 현대교육》 , 한국교육철학회, 〈교육철학〉 50권 0호. 2013 pp.61-87
  [9]박청미 (CheongMi Park) ,《퇴계교육철학과 미래교육- “교육“ 에서 “공부" 로》, 한국교육철학회, 〈교육철학〉 50권 0호. 2013 pp.89-108
  [10]김현수 (HyunSoo Kim) , K 16세기 중후반 퇴계 (退溪) 와 문인 ( 門人),학인 ( 學人) 간의 예학 쟁점과 경향 연구 - 『 퇴계상제례답문 (退溪喪祭禮答問 ) 』올 중심으로-》,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, 〈 퇴계학논총〉 21권 0호. 2013
  [11]우시오히로타카 (Ushio Hirotaka)《주자의 경설과 퇴계》,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, <퇴계학논총〉 21권 0호. 2013 pp.7-22
  [1]김형수 (HyeongSuKim) ,《이황서한 (李滉書翰) 을 통해본 명종대서원 (明宗代書院 ) 의 창설 ( 創設 ) 과 운영 ( 運營 ) 》,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, <퇴계학과 유교문화> 53권 0호. 2013 pp.21-50
  [ 13]이상익 (Sanglk Lee)《성리학 (性理學 ) 의 재구성인가, 해쳬인가? -이승환의 『 횡설과 수설 』 에 대한 비판적 논의-》, 퇴계학연구원, 〈퇴계학보〉 133권 01. 2013 pp.293-330
  [14]이상돈 (SangDon Lee)《주자 미발론 (未發論) 의 혼연 (渾然) 과 찬연(粲然) 》, 퇴계학연구원, 〈퇴계학보〉 133권 0호. 2013 pp.259-292
  [15]이정란(JeongRanLee)이동건(DongGunLee)《퇴계의경(敬)사상이지닌체육철학적함의》,한국쳬육학회,〈한국쳬육학회지-인문사회과학〉 52권 5M. 2013 pp.57-65
  [16]한재훈 (Jaehun Han)《퇴계 (退溪) 의 서원향사례정초 (書院享卞B澧定礎) 에 대한 고찰 (考察 ) - 백운동서원향사례 ( 白雲洞書院享杷澧) 수정을 중심으로-》 ,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,〈퇴계학과 유교문화〉 53권 0호。2013 pp.1-20
  [1]기 이정환 (JungHwan Lee) ,《사칠논변 ( IN-tㅍ論辨 ) 에서의 혼륜 ( 渾淪) 과분개 ( 分開 ) -호굉 (胡宏 ) 의 “동쳬이이용 (同體而異用 ) 。동행이이정 (同行而異情 )”에 대한 주자 ( 朱子 ) 의 비판과의 대비를 중심으로--》 ,퇴계학연구원,〈퇴계학보〉 133권 0호。2013 pp.39-78

知识出处

朱子学年鉴2013

《朱子学年鉴2013》

本书设特稿、朱子学研究新视野、全球朱子学研究述评、朱子学书评、朱子学研究论著、朱子学研究硕博士论文荟萃、朱子学界概况,朱子学动态、资料辑要(介绍朱子学新书目录、期刊论文索引、全球朱子学研究资料目录等)9个栏目。

阅读