一、朱子学

知识类型: 析出资源
查看原文
内容出处: 《朱子学年鉴-2011-2012》 图书
唯一号: 130820020230000645
颗粒名称: 一、朱子学
分类号: B244.7
页数: 4
页码: 304-307
摘要: 本汇编整理了2011年至2012年期间韩国朱子学研究的相关资料,包括朱子学的本体论、认识论、人性论、伦理学等方面,以及退溪学和栗谷学的相关研究。
关键词: 朱子学 退溪学 栗谷学

内容

[1]이동회(李東熙),주자학신연구(朱子學新硏究 ),문사철(文史哲 ),2012
  [2]훙성민(洪性敏),朱子哲學에서灑落의 의미 (朱子哲學中的灑落之義 ),한국동양철학회 (韓國東洋哲學會),2011
  [3]김문식 (金文植 ),조선본『주자어류』 의 간행과 활용(朝鮮本《朱子語類》的刊行與活用 ),단국사학회 (壇國史學會 ),2011
  [4]정상봉 (鄭相峯),주자형이상학의심충구조(朱子形而上學的深層構造 ),한국철학사연구회 (韓國哲學史硏究會 ),2012
  [5]이규필(李奎泌), 『주자대전 』주석서와 『주자대전차의문목표보 』(《朱子大全》的註釋書與 《朱子大全箚疑問目標補 》),대동한문학회 (大同韓文學會 ),2011
  [6]이승환(李承煥),주자의 ’횡설’과’수설’ (《朱子之橫 說 與賢 說 》),한국동양철학희 (韓國東洋哲學會 ),2012
  [7]전흥석(全洪奭),조선조주자학,이기심성론의 한국 유학적 전개양상 (朝鮮朱子學,理氣心性論之韓國僞學的展開 ),한국문명교류연구소 (韓國文明交流硏究所),2011
  [8]서근식(Seo Geun Sik),朱子의中和說 변천과정과 ‘敬’工夫論 (朱子之中和說的變遷過程與敬工夫言侖 ),동양고전학회(東洋古典學會),2012
  [9]임옥균(林玉均 ),이토 진사이의《맹자》해석 (伊藤仁齋的 《孟子》斛釋- 以與朱熹的比較爲中心 ),동양철학연구희 (東洋哲學硏究會 ),2011
  [10] 이승연(李承姸),조선에있어서 주자 종범 사상의 계승과 변용(朝鮮朱子宗法思想的繼承與變用 ),한국국학진훙원 (韓國國學盡興會 ),2011
  [11] 주팡호(朱光鎬),주자와우암의 미발설 비교 연구 (朱子與尤庵未發說的比較硏究 ),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(高麗大學哲學硏究所),2011
  [12] 정호훈 (鄭豪薰 ),조선후기『주자봉사(朱子封事)』익 간행과 활용(朝鮮後期 《朱子封事 》的刊行與活用 ),한국사상사학회 (韓國思想史學會 ),2011
  [13]임옥균(林 玉均 ),주자학과일본 고학파 (朱子學與日本高學派 ),성균관대학교 출판부 (成均館大學校出版部 ),2012
  [14]전병욱(田炳郁),주자와다산의 미발설과 수양론적 톡징 (朱子和茶山的未發說與其修餐論 ),고려대학교철학연구소 (高19大學哲學硏究所),2012
  [15]홍성민(洪性敏),朱子未發晩年說에 대한 재검토 (朱子未發晩年說的再探求),대한철학희 (大漢哲學會 ),2011
  [16]방인 (Bang In),정약용의「 주자본의발미 」 연구 (T若鏞 《朱子本義發黴》硏究 ),다산학술문화재단(茶山學術文予t財團 ),2011
  [17]선병삼(宜炳三),주자와왕양명의 체용론 비교 연 〓 (朱子與王陽明之體拜棺侖硏究 ),한국동양철학회 (韓國東洋哲學會),2012
  [18] 서대원(Seo dae won),주자역학평(朱子易學評譏),한국동양철학회(韓國東洋哲學會 ),2012
  [19] 임옥균(林玉均 ),이토진사이의 『논어』 해석 (伊藤仁齋對《論語》的斛釋 ),동양철학연구희 (東洋哲學硏究會 ),2012
  [20] 신태수 (申泰秀)f주자어류 』 <독서법>에 나타난 활간론(《朱子語 類 》讀 書法的活看論 ),한민족어문학희 (韓民族語文學會),2012
  [21]박길수 (朴吉洙),주희인심도심론의 심성론적 함의 (朱熹人心道心論的心性論含義 ),고려대학교철학연구소 (高麗大學哲學硏究所),2012
  [22]노영실(盧映實 ),주희의귀신론에 비추어 본 교사의 역할(朱熹鬼神論的角度下考察敎師的地位 )’한국도덕교육학회 (韓國道德敎育學會 ),2011
  [23]황갑연(黃甲淵),화엄과주희의 異同올 통해서 본 儒佛 의 交涉(華嚴之法界觀與朱熹之理[氣論的異同問題),한국양명학희(韓國驪明學會),2011
  [24] 김한상 (金漢相),주희성리학의 형이상학적 특잭과 현대 철학(朱熹性理學之形而上學白特點與現代哲學),범한철학회 (汎韓哲學會 ),2011
  [25]정대영 (鄭大寧),佛敎駭[點에서 본 茶山의 朱熹批判硏究 (佛敎觀點的角度 考察茶山對朱熹的批判 ),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(韓國學硏究所),2012
  [26] 황금중 공과 사에 대한주희의 인식과 공공성 교육 (朱熹對公私的理解與公共敎育),한국교육사상연구회(韓國敎育思想硏究會),2012
  [27]황갑연(黃甲淵)주회철학의 리기(理氣)개념 설명 (朱熹哲學之理氣槪念 ),한국중국학회 (韓國中國學會 ),2011
  [28]이태형 (李 泰衡 ) 주희사의 내용과 풍격 소고 (朱子詞的內容與風格硏究 )순천항대인문과학연구소,(順夭大學校ㅅ文科學硏究所),2011
  [29]張晶端,이황의 주희 리학理學에 대한 계숭과 발전 (李榥對朱熹理學的繼承及其發展),한국국학진훙원(후후國國學盡興會 ),2011
  [30]김승영(金ㅆ永 )’ 주회의블교비판과 미발수행범 (朱熹對佛家的才比,콥平與未發修餐論 ),한국양명학회(韓國陽明學會),2011
  [31]김꽝민 (金廣珉 ),주희공부론의 구조 (朱熹工夫論之結構 )한국도덕 교육학회 ,(韓國道德敎育學會 ),2011
  [32]이동욱(李東旭 ),주희와육구연의 아호사 논챙에 나타난교육철학 연구 (朱熹與陸九淵之鵝湖論證的敎育哲學硏究),한국양명학희(韓國陽明學會기2012
  [33]이승종 주희와 율곡의사유에 대한 현대적 접근 (對於朱熹與栗谷思想的現代性硏究 ),경북대학교동서사상연구소 (慶北大東西思想硏究所 ),2012
  [34]최천식 (崔夭植 ) 주희의 복꽤설 (朱熹之 復卦說 ) 철학연구희 (哲學硏究會 ),2011
  [35]정해왕(T海王),朱熹 의드綱領 ,八條目 의 의미와 문제 (朱熹之三綱 領 與八條目的意義與問題 ),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(釜山大學韓國民族文手t硏究所),2012
  [36]黎昕 ,주자사상의 조선반도전파와 영향에 대한 고찰 (試論久行=思想在朝鮮;半島的1專播與影響 ),한국국학진훙원 (韓國國學盡興슐 ),2011
  [37]이통희 (李東熙),켄 윌버시각에서 본 양명학과 주자학 (以 KenWilber的觀點來쫠陽明學與朱子學 》,한국양명학회(韓國陽明學會),2011
  [38]윤용남(尹m男),주자성론의 구조적 이해 (朱子性說之構造的理解 ),한국유교학회(韓國儒敎學會),2012
  [39]당윤희(唐潤熙 )《사서주자이동조변 》의 조선으로의전래와 영향에 대한 일고(《四흩朱子異同條辨》在朝鮮白갇쳐專來與影響),중국어문학희 (中國語文學會 ),2012
  [40]신춘호(申春浩),주자공부론에서 함양(涵餐)의 의미 (朱子工夫論之涵흇之義 ),한국도덕교육학희 (阜韋國道德敎育學* ),2011
  [41]해꽝우(解光宇),주자와퇴계의 심학心學 에 대한 평가 및 그의의 (對朱子和退溪之心學的評i{멧及其意義 ),한국국학진홍원 (韓國國學盡興會 ),2011
  [42]려혼(黎昕),주자사상의조선 전파와 영향에 관한 시론(朱子思想在朝鮮的傳播與影響 ) 한국국학진홍원 (韓國國學盡興會 )’2011
  [43]이상익(李 相盖 )주자기질지성론의 잉=면성과 퇴,율성리학(朱子之氣質之性論的兩面性與退,栗的性理學 )’ 동양철학연구희 (東洋哲學硏究* ),2011
  [44]임헌 予(林憲圭),유교심신관계론에 대한 일고찰(僞家之身心關係論的硏究 ),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(退溪硏究所 ),2012
  [45]김재경(金載京),성리학에서’형식의 문제 -주자 성리학올중심으로- (性理學中的“形式”問題-以朱子中心 ),동양철학연구희 (東洋哲學硏究會 ),2011
  [46]임려(林麗),《朱子語類》中的 "V得 Ca"狀熊迷補結構小考(주자어류에서의 V得 Ca 상황적숱보구조연구),중국어문연구희 (中國語文硏究會 ),2011
  [47]신태수(申泰秀) f주자어 류(朱子語類)』 <독서법(讀 흩法)>의 층위(層位)와 그 구성주의적(構成主義的)성격(性格),경북대학교영남문화연구원 (嶺南文化硏究院 ),2012
  [48]송봉구(Song Bong Gu),주자의 거경과 해월의 수심정기비교연구(朱子之居敬與海月之守心正氣的比較硏究 ),충낭대학교 유학연구소 (僞學硏究所),2011
  [49]전현희(Cheon Hyun Hee),주자의 인심도심설 (朱子的人心道心之說 ),한국철학사연구회 (韓國哲學史硏究會 ),2011
  [50]진원 (Jin Won),소학저술이전 시기 주자의 소학론 (朱子之小學論 ),되계학연구원 (退溪硏究院 ),2012
  [51]송인창 (末寅昌 ) 주자의 복서역학에 대한 연구 (朱子之卜筮易學的硏究),한국동서철학회 (東西哲學會 ),2011
  [52]한재훈 (韓在壎 ), 주자의 ’신민’ 해석과 ·도통론”의함수관계 (朱子對新民的倂說與道統論的關係 ),한국공자학회 (韓國孔子學會 ),2012
  [53]안영탁(安營擢),『 중용장구 』에 나타난 주자의 귀신론에 관한 연구 (《中膚章句 》中的朱子鬼裨論硏究 )’부경대학교 인문사희과학연구소 (釜慶大人文社會科學硏究所),2011

知识出处

朱子学年鉴-2011-2012

《朱子学年鉴-2011-2012》

出版者:厦门大学出版社

本书为2011-2012年朱子学年鉴。内容包括本刊特稿2篇、朱子学研究新视野7篇、全球朱子学研究述评6篇、朱子学研究新著38篇、朱子学书评3篇、朱子学研究优秀硕博士论文82篇、朱子学研究论文荟萃54篇、朱子学研究重大课题4篇、朱子学国内外学术动态6篇、朱子学研究机构介绍3篇、朱子学研究学者介绍13篇、2011-2012年朱子学新书索引、2011-2012年朱子学论文索引556篇等。

阅读